<별게 다 영감>

by 이승희, 2021


이 책은 인스타그램에서 팔로우중이었던 영감노트(@2tnnd)에 올라와서 구매한 책이다.

일상으로부터, 제품으로부터 우연히 마주하는 다양한 영감을 기록한 책이다.
마케터가 꾸준히 기록해온 영감들을 책 한 권으로 엿볼 수 있어 좋았다.
가볍게 읽기 좋아서 선물하기에도 좋은 책이었다.

나도 평소에 기록을 잘 해두는 편이라,
언젠가 내가 기록해둔 것들이 빛을 발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된다.



밑줄 친 문장들

  1. “어려운 것을 쉽게, 쉬운 것을 깊게, 깊은 것을 유쾌하게.” 작가 이노우에 하사시의 말. (p.19)
  2. 공부란 ‘머리속에 지식을 쑤셔넣는 행위’가 아니라 ‘세상의 해상도를 올리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뉴스의 배경음악에 불과했던 닛케이 평균 주가가 의미를 지닌 숫자가 되거나, 외국인 관광객의 대화를 알아들을 수 있게 되거나, 단순한 가로수가 ‘개화 시기를 맞이한 배롱나무’가 되기도 한다. 이 ‘해상도 업그레이드감’을 즐기는 사람은 강하다. (p.27)
  3. “훈습이란 개념은 산스크리트어인 바사나(vasana)에서 온 말인데요. 어떤 냄새가 밴다는 뜻이래요. 이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리추얼과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꾸준히 반복적으로 ‘진짜 나’를 마주하는 훈련을 하다 보면, 내면의 힘이 자라고 나에 대한 깨달음이 삶 속에 깊숙이 자리잡게 돼요.” 매일 내가 하는 말, 태도가 나도 모르게 몸과 마음에 배고 있다. 그래서 일상을 소중히 가꾸는 건 중요하다. 오늘 내가 한 말, 행동부터 가꿔나가자. (p.59)
  4. “이 우주에서 우리에겐 두 가지 선물이 주어진다. 사랑하는 능력과 질문하는 능력.” 메리 올리버의 <휘파람 부는 사람> 중에서. (p.70)
  5. “관객에게 답을 주는 영화는 극장에서 끝날 것이다. 하지만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는 영화는 상영이 끝났을 때 비로소 시작한다.” 영화감독 아쉬가르 파라디의 명언. (p.75)
  6. ‘두렵다’는 건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증거다. 소망하는 게 생겼을 때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함께 느낀다. 그만큼 잘하고 싶다는 거니까. 두려움이 느껴질 때면, 내가 또 무언가를 하려고 하는구나, 다음 단계로 넘어가려고 하는구나 하고 좋게 생각해보자. (p.104)
  7. Steal with Pride. 나만 알고 있던 시대는 끝났다. 잘하는 것을, 아는 것을 동료와 공유하고 함께 성장하는 시대다. 이제 함께하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진짜 잘하는 사람은 자신의 것을 공유하고 또 다른 차원으로 넘어간다. ‘지식의 선순환’시대. (p.157)
  8. 글을 쓸 때마다 정신을 필라테스하는 기분이 든다. 안 쓰던 단어를 꺼내는 건 안 쓰던 근육을 쓰는 것과 같다. 책은 내 생각의 지평을 넓혀준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것을 누군가가 ‘보이는 형태’로 만들어 건네는 느낌이 책의 매력. (p.239)
  9. 번아웃에 자부심을 가지라는 말이 이렇게 위로가 될 수 있나. 나 역시 동의한다. 번아웃과 매너리즘 그리고 슬럼프는 치열하게 사는 사람들에게만 온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더 나은 시나리오를 써내려갈 수 있는 사람들이다. (p.248)
  10. 회사의 우수사원이 된 분의 수상 소감. “아버지가 말씀하시길, 찍먹이 아니라 부먹하라고 했다. 무언가를 하려면 쏟아부어야 한다고.” (p.320)
  11. 젊은 친구들이 멘토를 통해 인생의 가이드가 아니라 인생의 답을 찾으려는 것 같다. ‘여덟 단어’라는 책을 냈었는데, 그 책 제목 후보 중 하나가 ‘인생은 공책이다’였다. 인생을 책으로 아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이십 대를 이렇게 살았는데, 삼십 대 중반에 가면 뭐가 쓰여 있나요, 어떤 결과가 나옵니까’라고 묻는다. 미래는 빈 공책이다. 그곳을 채우며 써 나가는 것이 인생이다. (p.324)
  12. “우리는 우리의 비하인드 신과 누군가의 하이라이트 신을 비교한다.” (p.334)
  13. 지옥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가까이있는 사람을 미워하면 된다. 천국을 만드는 방법도 간단하다. 가까이있는 사람을 사랑하면 된다. 모든 것이 다 가까이에서 시작된다. - 백범 김구 (p.335)
  14. “예술가는 특별한 삶을 살지 않는다. 평범한 삶을 특별하게 받아들일 뿐이다.” 김태경 님의 인스타그램에서. (p.343)
  15. 위안 받는 각자만의 한강이 있어야 한다. 나는 노트에 순간순간 느낀 감정이나 목표들을 적는 것이 뇌의 기록을 종이로 옮겨 오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종이에 옮겨 온 글들은 다시 나의 가슴으로 들어온다. 심장이 뛰고 기분이 변한다. 뇌에서 바로 심장으로 이동하면 좋겠지만 생각은 뇌에서 바로 심장으로 잘 옮겨 가지 않는다. - 배우 하정우 (p.356)
  16. 둔감력이란, 사소한 일에 동요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대범함과 소신을 굽히지 않는 의지력을 말합니다. (p.351)
  17. “삶의 비결은 적절한 조명이 비치는 곳으로 가는 것이다. 당신은 어떤가?” 어반라이크 Working from home, <스포트라이트와 등불>. 타인의 기대도 시선도 조명과 같다. 사람들의 관심, 즉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삶이 좋은 사람도 있을 테고, 내가 켠 등불 아래서 나만의 시간을 고요하게 보내는 걸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든 적절한 조명이 비치는 곳을 찾는 건 꽤 중요하고도 생산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p.382)
  18. “인생을 격정적으로 돌파하는 사람은 1년 전의 자기 말을 부정합니다. 한 인간의 삶을 그릴 때는 모순되고 비약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단절의 순간이지요.” - 소설가 김탁환 (p.383)